반응형
Linux에 설치
설명
- 단일 노드에서 가볍게 Kubernetes를 테스트해볼 수 있는 방법
- LoadBalancer와 같은 service 기능을 완전히 지원하지 않아 불편한 부분이 좀 있음
Docker 설치
- 참고
- https://sg-choi.tistory.com/235
kubectl 설치
cd /usr/local/bin \
&& sudo curl -LO https://storage.googleapis.com/kubernetes-release/release/v1.17.0/bin/linux/amd64/kubectl \
&& sudo chmod +x kubectl \
&& kubectl version --client
Minikube 설치
sudo mkdir -p /usr/local/bin \
&& cd /usr/local/bin \
&& sudo curl -Lo minikube https://storage.googleapis.com/minikube/releases/latest/minikube-linux-amd64 \
&& sudo chmod +x minikube \
&& minikube version
config.json 설정(필요할 경우 진행)
vi ~/.minikube/machines/minikube/config.json
{
...
"HostOptions": {
...
"EngineOptions": {
...
"InsecureRegistry": [
...
"localhost:5000" // insecure private registry 사용시 설정 필요
]
}
}
}
Minikube 실행
minikube start --cpus 4 --memory 8000
Minikube tunnel 실행
# LoadBalancer external ip 발급을 위해 실행 필요
sudo minikube tunnel
Minikube 상태 확인
minikube status
테스트
# ls -al 명령
kubectl run -it test-pod --image=busybox --rm --restart=Never --command -- ls -al
Minikube 종료
minikube stop
참고
- https://kubernetes.io/ko/docs/tasks/tools/install-minikube/
- https://kubernetes.io/docs/tasks/tools/install-kubectl/#install-kubectl-on-linux
Windows에 설치
VirtualBox 다운로드 & 설치
- 다운로드
- https://www.virtualbox.org/wiki/Downloads
VirtualBox 설정
- minikube 항목 우클릭 → 설정
- 시스템 → 마더보드 → 기본 메모리 : 8000MB
- 시스템 → 프로세서 → 프로세서 개수 : 4
- 네트워크 → 어댑터 2
- 다음에 연결됨 : 호스트 전용 어댑터
- 이름 : 어댑터 (ex. VirtualBox Host-Only Ethernet Adapter #2)
실행 파일 다운로드
- minikube
- 다운로드
- https://github.com/kubernetes/minikube/releases
- 저장 경로 : C:/Program Files/k8s
- minikube-windows-amd64.exe 다운로드 → minikube.exe로 이름 변경
- 다운로드
- kubectl
- 다운로드
- https://storage.googleapis.com/kubernetes-release/release/v1.18.0/bin/windows/amd64/kubectl.exe
- 저장 경로 : C:/Program Files/k8s
- 다운로드
환경 변수 추가
- PATH : C:/Program Files/k8s
minikube 실행
minikube start --driver=virtualbox
C:\Users\USER>minikube start --driver=virtualbox
* Microsoft Windows 10 Enterprise 10.0.17763 Build 17763 위의 minikube v1.11.0
* 유저 환경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virtualbox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중
* 가상 머신 부트 이미지 다운로드 중 ...
> minikube-v1.11.0.iso.sha256: 65 B / 65 B [-------------] 100.00% ? p/s 0s
> minikube-v1.11.0.iso: 174.99 MiB / 174.99 MiB [] 100.00% 6.72 MiB p/s 27s
* Starting control plane node minikube in cluster minikube
* Downloading Kubernetes v1.18.3 preload ...
> preloaded-images-k8s-v3-v1.18.3-docker-overlay2-amd64.tar.lz4: 526.01 MiB
* virtualbox VM (CPUs=2, Memory=4000MB, Disk=20000MB) 를 생성하는 중 ...
* 네트워크 옵션을 찾았습니다
- NO_PROXY=192.168.99.100
- no_proxy=192.168.99.100
* 쿠버네티스 v1.18.3 을 Docker 19.03.8 런타임으로 설치하는 중
- env NO_PROXY=192.168.99.100
* Verifying Kubernetes components...
* Enabled addons: default-storageclass, storage-provisioner
* 끝났습니다! 이제 kubectl 이 "minikube" 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되었습니다
minikube 실행 확인
minikube status
C:\Users\USER>minikube status
minikube
type: Control Plane
host: Running
kubelet: Running
apiserver: Running
kubeconfig: Configured
kubectl 실행 확인
kubectl version
minikube 기타 명령어
- 종료
minikube stop
- 삭제
minikube delete
- 노드 ssh 접속
- username : docker
- password : tcuser
minikube ssh
참고
- https://kubernetes.io/ko/docs/tasks/tools/install-kubectl/
반응형
'Development > Kubernet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ubernetes] Service (0) | 2020.12.29 |
---|---|
[Kubernetes] 예제 (0) | 2020.12.29 |
[Kubernetes] 명령어 (0) | 2020.12.29 |
[Kubernetes] 단일 클러스터 구성하기 (0) | 2020.12.29 |
[Kubernetes] 클러스터 설정하기 (0) | 2019.12.03 |